In Korea, a Faithful and Successful Intellectual Law Firm is IPMAX

아이피맥스 구성원은 고객 지적재산권의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전문가입니다

Phone


변리사 컬럼

1. 원문

 

35  Conditions for patentability; novelty.

(a) NOVELTY; PRIOR ART.—A person shall be entitled to a patent unless—

(1) the claimed invention was patented, described in a printed publication, or in public use, on sale, or otherwise available to the public before the effective filing date of the claimed invention; or

(2) the claimed invention was described in a patent issued under section 151 , or in an application for patent published or deemed published under section 122(b) , in which the patent or application, as the case may be, names another inventor and was effectively filed before the effective filing date of the claimed invention.

(b) EXCEPTIONS.—

(1) DISCLOSURES MADE 1 YEAR OR LESS BEFORE THE EFFECTIVE FILING DATE OF THE CLAIMED INVENTION.—A disclosure made 1 year or less before the effective filing date of a claimed invention shall not be prior art to the claimed invention under subsection (a)(1) if—

(A) the disclosure was made by the inventor or joint inventor or by another who obtained the subject matter disclosed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inventor or a joint inventor; or

(B) the subject matter disclosed had, before such disclosure, been publicly disclosed by the inventor or a joint inventor or another who obtained the subject matter disclosed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inventor or a joint inventor.

(2) DISCLOSURES APPEARING IN APPLICATIONS AND PATENTS.—A disclosure shall not be prior art to a claimed invention under subsection (a)(2) if—

(A) the subject matter disclosed was obtained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inventor or a joint inventor;

(B) the subject matter disclosed had, before such subject matter was effectively filed under subsection (a)(2), been publicly disclosed by the inventor or a joint inventor or another who obtained the subject matter disclosed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inventor or a joint inventor; or

(C) the subject matter disclosed and the claimed invention, not later than the effective filing date of the claimed invention, were owned by the same person or subject to an obligation of assignment to the same person.

(c) COMMON OWNERSHIP UNDER JOINT RESEARCH AGREEMENTS.—Subject matter disclosed and a claimed invention shall be deemed to have been owned by the same person or subject to an obligation of assignment to the same person in applying the provisions of subsection (b)(2)(C) if—

(1) the subject matter disclosed was developed and the claimed invention was made by, or on behalf of, 1 or more parties to a joint research agreement that was in effect on or before the effective filing date of the claimed invention;

(2) the claimed invention was made as a result of activities undertaken within the scope of the joint research agreement; and

(3) the application for patent for the claimed invention discloses or is amended to disclose the names of the parties to the joint research agreement.

(d) PATENTS AND PUBLISHED APPLICATIONS EFFECTIVE AS 102(a)(2) PRIOR ART **102(a)(2) 선행기술 유효출원일

 

2. 번역문

 

 

35 U.S.C. 102 특허 조건으로서; 신규성

(a) 기본 원칙: 신규성 거절 요건

(1)  공지/공용  ** 이 조항(a)(1)의 예외는 (b)(1)

(2)  발명자가 다른 미국 출원, 미국 특허, 미국을 지정한 PCT 출원 (확대된 선원 규정)       ** 이 조항(a)(1)의 예외는 (b)(2)

(b) 기본 원칙(a)의 예외 

(1) 1년 유예기간 (청구된 발명의 유효 출원일로부터 1년 이내에 공개된 내용이 다음의 경우) 102(a)(1) 공지/공용의 예외

 (A) 해당 disclosure(개시)가 발명자, 공동 발명자, 또는 이들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해당 공개된 내용(subject matter)을 입수한 자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발명자 기원 공개(inventor-originated disclosure)라 함); 또는

(B) 해당 공개된 내용(subject matter)이 공개되기 전에, 발명자 기원 공개가 선행된 경우  (3자 중간 공개라 함)

(2)  102(a)(2) 미국 출원 간 선출원 지위의 예외

(A) 발명자 등으로부터 직접 간접으로 취득한 제3자의 선출원

(B) 발명자의 공지/공용 후 제3자의 선출원

(C) 청구된 발명의 유효 출원일 이전에, 선출원과 청구된 발명이 동일인에게 소유되거나 양도할 의무가 있는 경우 (직무발명, 공동연구협약 등)

   (c) 공동연구협약 하의 공동 소유- 102(b)(2)(C)항의 적용에 있어,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공개된 기술내용(subject matter)과 청구된 발명(claimed invention)은 동일한 자가 소유하거나 동일한 자에게 양도 의무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1) 청구된 발명의 유효 출원일 이전 또는 그 당일에 유효하게 체결된 공동연구협약의 1 인 이상의 당사자 또는 이들을 대리인에 의해, 공개된 내용이 개발되고 청구된 발명이 이루어져야 함 (공동 연구협약의 당사자가 발명)

(2) 청구된 발명은 해당 공동연구계약의 범위 내에서 수행된 활동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이어야 함 (발명이 공동연구협약의 범위 내의 활동 결과일 것)

(3) 청구된 발명에 대한 특허 출원은 공동연구협약 당사자의 이름을 공개하거나 공개하도록 수정된 경우 (본 출원에서 공동연구협약 당사자의 이름을 기재하거나 보정을 통해 당사자가 동일해진 경우 포함)

    (d) 특허 및 공개된 출원이 102(a)(2) 선행기술로서 효력을 가지는 시점

       (1) 102(a)(2)항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선행기술의 actual filing date을 기준

       (2) 우선권(priority) 또는 출원일 이익(benefit)을 주장할 자격이 있는 경우: 119(파리조약 출원, 임시출원), § 365(PCT 출원), § 386(Hague 국제디자인출원)에 따른 우선권 주장, 또는 § 120(CA, DA, CIP), § 121(RR에 의한 DA), § 365(PCT 미국출원), § 386(Hague 국제디자인출원)에 따른 조기 출원일 이익 주장이 있는 경우 최선출원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아이디어만으로 특허 받을 수 있을까? 💡 webmaster 2025.07.13 698
공지 기업들이 특허를 '나눔'하는 놀라운 이유 webmaster 2025.07.12 684
공지 재미있는 특허 제도 이야기 webmaster 2025.07.11 677
공지 특허법 상 실시에 '수출'이 포함: 특허 사각지대 해소 webmaster 2025.07.10 738
공지 법인의 대표가 자신의 명의로 등록된 특허권을 법인에게 양도하는 배경과 세금 이슈 webmaster 2025.07.10 841
공지 정부 지원 사업 특허 활용 전략 KwonseokKIM 2025.07.10 660
공지 2025년 주요 특허출원지원사업 요약 KwonseokKIM 2025.07.03 666
공지 이용발명과 원천 기술의 보호 KwonseokKIM 2025.06.28 675
공지 기술 특례 상장과 특허 KwonseokKIM 2025.06.25 677
공지 특허 포트폴리오란 KwonseokKIM 2025.06.24 682
» 미국 특허법 35 U.S.C. 102 특허 조건으로서; 신규성 및 번역문 KwonseokKIM 2025.06.22 736
공지 전체 디자인과 부분 디자인의 통일적 유사 여부 판단으로 심사기준 개정 KwonseokKIM 2025.06.18 668
공지 인공지능 발명의 특허요건과 기재요건 webmaster 2025.05.08 1046
공지 불사용취소심판제도 한국 Vs 중국 Vs 일본 webmaster 2017.01.13 10084
22 실시권자의 의뢰로 방법발명의 전용품을 제작·납품한 행위의 특허권 간접침해 성립여부 webmaster 2021.02.03 1276
21 방법 발명 특허의 권리소진에 관하여 webmaster 2021.02.03 1063
20 2020년 추가된 스타트업등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 제도 webmaster 2020.11.20 404
19 중국 실용신안제도 webmaster 2020.04.06 1700
18 Freedom-to-Operate (실시자유) 분석 webmaster 2019.12.05 1984
17 미국 특허 소송 시 Markman Hearing의 중요성 webmaster 2019.11.27 1487
16 라파스, 테라젝발 특허침해 ITC 제기 file webmaster 2019.11.27 1205
15 기술성숙도(Technology Readiness Level)란 webmaster 2019.11.03 1020
14 Foreign Filing License 제도 webmaster 2019.06.14 3988
13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특허실시권자도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 webmaster 2019.06.03 1991
12 2019년도 정부 지식재산 지원체계 webmaster 2019.05.02 874
11 중국 주요 전리법률 webmaster 2017.04.12 19740
10 중국 주요 상표법의 소개 file webmaster 2017.01.17 16682
9 중국 기업과의 기술 관련 계약 시 검토하여야 할 법률 사항 file webmaster 2016.07.19 3256
8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의 자유실시기술 항변의 차단 file webmaster 2016.04.28 8235
7 유럽공동상표(Community Trade Mark) 출원 절차에 대하여 webmaster 2015.08.25 12322
6 직무발명 보상금은 비과세인지? webmaster 2015.08.24 3853
5 [판례 연구] 종업원의 직무발명에 대해 아무런 약정 없이 대표이사를 발명자 및 출원인으로 하여 특허를 출원, 등록받은 경우, 그 특허는 무권리자에 의한 출원으로 무효가 된다는 내용의 판결입니다-대법원 2003후373 판결 webmaster 2015.07.08 4509
4 미국 특허 분쟁의 신속한 해결을 위한 PGR(Post) Vs IPR(Inter Partes Review) webmaster 2015.03.20 7187
Quick Menu
Quick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