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Korea, a Faithful and Successful Intellectual Law Firm is IPMAX

아이피맥스 구성원은 고객의 지적재산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전문가들입니다

Phone


변리사 컬럼

타인의 신제품이나 상품 설명서에 기재된 상품의 형태를 모방한 제품의 제조, 판매 및 전시 등의 실시 행위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할 여지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해당 제품이 디자인보호법상 등록된 디자인으로서 보호되고 있는지 여부와, 디자인 출원되어 등록된 권리가 아닐지라도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부정경쟁방지법이라 함)의 제2조 '자'목에서 정하는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첫째, 디자인보호법상 등록된 디자인인지 여부는 등록디자인을 검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동일 유사한 타인의 선등록 디자인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타인의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이 있다면 등록 디자인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둘째, 부정경쟁방지법의 제2조 제1호 (자)목이 규정하는 부정경쟁행위는, 아래와 같다.  

자. 타인이 제작한 상품의 형태(형상ㆍ모양ㆍ색채ㆍ광택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을 말하며, 시제품 또는 상품소개서상의 형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를 모방한 상품을 양도ㆍ대여 또는 이를 위한 전시를 하거나 수입ㆍ수출하는 행위.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는 제외한다.

(1) 상품의 시제품 제작 등 상품의 형태가 갖추어진 날부터 3년이 지난 상품의 형태를 모방한 상품을 양도ㆍ대여 또는 이를 위한 전시를 하거나 수입ㆍ수출하는 행위

(2) 타인이 제작한 상품과 동종의 상품(동종의 상품이 없는 경우에는 그 상품과 기능 및 효용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품을 말한다)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형태를 모방한 상품을 양도ㆍ대여 또는 이를 위한 전시를 하거나 수입ㆍ수출하는 행위

 

대법원은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자)목에서 표현된 ‘모방’이라 함은 타인의 상품의 형태에 의거하여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상품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하며, 형태에 변경이 있는 경우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상품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당해 변경의 내용·정도, 그 착상의 난이도, 변경에 의한 형태적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라고 판시하였다(대법원 2012. 3. 29. 선고 2010다20044 판결).  즉,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는 모방이라고 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에 해당하는 정도로 유사 범위까지 확장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타인이 제작한 상품의 형태를 모방한 경우라도, 위 자목의 단서 규정에 따라, 그 상품이 공개된지 이미 3년이 경과하였거나, 3년이 경과되지 않았더라도, 그 모방 자체가 '상품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형태'를 모방한 경우에 불가한 경우라면, 이러한 모방 제품의 제조 또는 판매 등은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품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형태'란 동종의 상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형태로서, 상품의 기능·효용을 달성하거나 상품 분야에서 경쟁하기 위해여 채용이 불가피한 형태 또는 동종의 상품이라면 흔히 가지는 개성이 없는 형태 등을 의미하므로(대법원 2017. 1. 25. 선고 2015다216758 판결), 동종의 상품 분야에서 채용이 불가피한 형태이거나 흔히 볼 수 있는 개성이 없는 형태를 모방한 경우에는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실무상, 실시 제품이 타인의 제품에 대해 모방이 인정되는 경우이고, 타인의 제품이 출시된지 3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제품의 형태 자체가 동종의 상품 분야의 다른 제품들과 비교시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형태에 불과하고, 차별성이 없는, 즉 개성이 없는  흔한 것에 불과한 것이라면, 완전한 복제(Dead copy)일지라도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변리사 채현경@아이피맥스 특허법률사무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아이디어만으로 특허 받을 수 있을까? 💡 webmaster 2025.07.13 15
공지 기업들이 특허를 '나눔'하는 놀라운 이유 webmaster 2025.07.12 20
공지 재미있는 특허 제도 이야기 webmaster 2025.07.11 20
공지 특허법 상 실시에 '수출'이 포함: 특허 사각지대 해소 webmaster 2025.07.10 33
공지 법인의 대표가 자신의 명의로 등록된 특허권을 법인에게 양도하는 배경과 세금 이슈 webmaster 2025.07.10 57
공지 정부 지원 사업 특허 활용 전략 KwonseokKIM 2025.07.10 9
공지 2025년 주요 특허출원지원사업 요약 KwonseokKIM 2025.07.03 29
공지 이용발명과 원천 기술의 보호 KwonseokKIM 2025.06.28 13
공지 기술 특례 상장과 특허 KwonseokKIM 2025.06.25 19
공지 특허 포트폴리오란 KwonseokKIM 2025.06.24 19
공지 미국 특허법 35 U.S.C. 102 특허 조건으로서; 신규성 및 번역문 KwonseokKIM 2025.06.22 56
공지 전체 디자인과 부분 디자인의 통일적 유사 여부 판단으로 심사기준 개정 KwonseokKIM 2025.06.18 12
공지 인공지능 발명의 특허요건과 기재요건 webmaster 2025.05.08 300
공지 불사용취소심판제도 한국 Vs 중국 Vs 일본 webmaster 2017.01.13 9345
30 2025년 시행 특허법 KwonseokKIM 2025.07.07 9
29 온라인 판매 플랫폼의 지적재산권 침해 책임 유무 webmaster 2025.02.11 111
28 특허법·부정경쟁방지법·디자인법·상표법 상 최대 5배 징벌적 손해배상 file webmaster 2025.01.21 121
» 상품 형태 모방 행위에 관한 법적 이슈 webmaster 2021.08.12 1162
26 특허 정정의 적법 요건 webmaster 2021.08.04 807
25 국제계약에서 "Change of Control"에 관한 조항 webmaster 2021.07.21 5864
24 인공지능 프로그램 발명의 특허 적격성 webmaster 2021.06.02 1549
Quick Menu
Quick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