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Korea, a Faithful and Successful Intellectual Law Firm is IPMAX

아이피맥스 구성원은 고객 지적재산권의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전문가입니다

Phone


변리사 컬럼


미국특허를 무효(invalidation)시키기 위한 방안 : PGR Vs IPR


1. 개요

발명법(AIA)의 도입으로,  미국 특허분쟁발생시 소송과 별도로 미국 특허의 무효를 다툴 수 있는 재심사 (Reexamination) 제도가 크게 수정되었다.  

특히 재심사 제도 중 소송진행시 저렴하게 이용되었던 종래의 당사자계 재심사(Inter partes  Reexamination) 제도는 2012.9.16.부터 신청할 수 없으며, 대신 새롭게 마련된 PGR(Post Grant Review; 등록후 리뷰) 및 IPR(Inter partes Review: 당사자계 리뷰)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PGR은 우리나라의 이의신청제도에 대응되며, IPR은 무효심판제도와 유사하다.   재심사 제도 중의 하나의 기존의 결정계 재심사(Ex parte reexam) 제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2. 실익  

  PGR과 IPR 제도는 법률에 의해 1년 ~ 1.5년 이내에 결정을 내려야 하므로 통상의 민사소송 절차보다 빠르며, 평균 36개월 정도가 소요되었던 당사자계 재심사보다 신속하게 결정을 받을 수 있어 민사법원에 침해 소송이 진행 중일 때 분쟁의 조기 해결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기존 미국특허소송은 자금력이 풍부한 특허권자의 특허소송 진행시 상대방은 금전적 압박(미국특허소송비용은 3년간 평균 2.5백만불 정도)과 미국 소송의 배심원 제도가 특허권자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심리적 압박을 받아 불리한 입장에서 손해액과 관계 없이 향후 소송비용을 고려한 금액으로 합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IPR/PGR 제도를 이용하는 경우, 소송절차나 재심사 제도보다 월등히 빠른 처리기간과 배심원이 아닌 특허전문가의 판단을 받는 이점이 있어, 분쟁 초기에 선제적 공격수단으로서 PGR과 IPR을 이용한다면 특허권자가 소송을 통해 얻고자 하는 유리한 지위를 상쇄하고, 역으로 특허권자를 압박하여 특허권자보다 우위를 점유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리한 협상결과를 얻어내 적은 비용으로 특허분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PGR과 IPR의 공통점


◎ 당사자 특정 여부 :  결정계 재심사(Ex parte reexam) 경우 신청인은 익명으로 신청할 수 있지만,

PGR/IPR은 종전의 당사자계 재심사(Inter partes reexam)와 같이 익명 신청이 불가능하고, 모든 당사자를 특정해야 한다.


◎ 금반언 적용 여부 : PGR/IPR은 당사자계 재심사(Inter partes reexam)와 같이 절차 진행 중 제시되거나 제시될 수 있었던 사항에 대해 추후 특허청, 법원 및 ITC에서 이에 반하는 사항을 다시 주장할 수 없게 되는 금반언 적용을 받는다.


◎ 소요 기간 :  PGR/IPR은 절차개시 후 1년 이내에 최종결정을 내려야 하며, 이 기간은 6개월까지 연장할 수 있다.


◎ 신청 기관 : 재심사(reexam)는 미국특허청(USPTO)의 Central Reexamination Unit에서 진행되나 PGR/IPR은 심판원격인 PTAB(Patent trial appeal Board)에서 진행된다.


◎ 불복 방법:  PGR/IPR의 결정에 대해서는 연방법원에 불복할 수 있다.


4. PGR과 IPR의 차이점


구분 

PGR


IPR 

신청

기간

 

등록 후 9개월 이내

등록 후 9개월 후 또는 PGR 종료 후 

(PGR이 신청되어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절차가 종료되기 전에는 IPR을 신청할 수
없음)

신청인이 이미 민사법원에 특허의 유효성 확인을 청구한 때

에는 신청 불가.  그러나, 상대방이 제기한 소송에서 반소로 무효를 다투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음.

(PGR/IPR 신청후 그 신청인이 민사법원에 특허의 무효를 다투는 청구를 하는 겨우, 민사법원 청구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동적으로 중단됨)

신청

사유

 특허의 무효와 관련된 모든 사유  

선행문헌과 관련된 신규성 및 진보성 결여

신청

제한

적어도 하나의 청구항이 무효가 될 가능성이 전혀 없지 않다는 것(more likely than not)을 제시해야 절차가 개시됨
PGR보다 더 엄격하여, 적어도 하나의 청구항이 무효가 될 합리적인 가능성이 있다는 것(RLS, reasonable likelihood of success)을 제시해야 절차가 개시됨 
참고로, 결정계 재심사(Ex parte reexam)에서는 특허성에 대한 실질적으로 신규한 사항(SNQ, substantial new question of patentability)만 있으면 절차가 개시됨

관납료 

 USD 35,800 (청구항 개수 1~ 20)

10항 추가시 USD 35,800 가산

 USD 27,200 (청구항 개수 1~ 20)

10항 추가시 USD 27,200 가산

예상

비용

USD 266,000 ~ 339,000 예상 (출처:  미국특허청 Federal Register / Vol. 77, No. 28 / Friday, February 10, 2012 / Proposed Rules) 


당소 담당자: 변리사 김권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아이디어만으로 특허 받을 수 있을까? 💡 webmaster 2025.07.13 730
공지 기업들이 특허를 '나눔'하는 놀라운 이유 webmaster 2025.07.12 722
공지 재미있는 특허 제도 이야기 webmaster 2025.07.11 713
공지 특허법 상 실시에 '수출'이 포함: 특허 사각지대 해소 webmaster 2025.07.10 774
공지 법인의 대표가 자신의 명의로 등록된 특허권을 법인에게 양도하는 배경과 세금 이슈 webmaster 2025.07.10 937
공지 정부 지원 사업 특허 활용 전략 KwonseokKIM 2025.07.10 687
공지 2025년 주요 특허출원지원사업 요약 KwonseokKIM 2025.07.03 697
공지 이용발명과 원천 기술의 보호 KwonseokKIM 2025.06.28 704
공지 기술 특례 상장과 특허 KwonseokKIM 2025.06.25 715
공지 특허 포트폴리오란 KwonseokKIM 2025.06.24 714
공지 미국 특허법 35 U.S.C. 102 특허 조건으로서; 신규성 및 번역문 KwonseokKIM 2025.06.22 779
공지 전체 디자인과 부분 디자인의 통일적 유사 여부 판단으로 심사기준 개정 KwonseokKIM 2025.06.18 703
공지 인공지능 발명의 특허요건과 기재요건 webmaster 2025.05.08 1093
공지 불사용취소심판제도 한국 Vs 중국 Vs 일본 webmaster 2017.01.13 10115
» 미국 특허 분쟁의 신속한 해결을 위한 PGR(Post) Vs IPR(Inter Partes Review) webmaster 2015.03.20 7197
3 컴퓨터관련발명의 심사기준개정-컴퓨터프로그램 자체를 청구대상으로 허용 webmaster 2014.08.14 1665
2 무료 상표 검색 사이트 webmaster 2014.02.03 58059
1 [미국특허제도] Quick Path Information Disclosure Statement (QPIDS)에 대하여 file KwonseokKIM 2013.07.24 149794
Quick Menu
Quick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