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Korea, a Faithful and Successful Intellectual Law Firm is IPMAX

아이피맥스 구성원은 고객의 지적재산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전문가들입니다

Phone


IP 뉴스

<파워인터뷰>
“노벨상은 올림픽金 아니다… 기초과학 저변부터 다져야”
박천학기자 kobbla@munhwa.com

김도연 포스텍 총장이 지난해 12월 22일 포스텍 총장실에서 진행된 문화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기업가 정신 교육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말한 뒤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포항 = 김선규 기자 ufokim@
김도연 포스텍 총장

김도연(64) 포스텍 7대 총장은 정부가 선정한 ‘노벨상 후보’에 이름을 올린 적이 있다. 1998년 서울대 교수 시절, 정부가 과학기술 분야 노벨상 수상자 배출 프로젝트의 하나로 연구성과가 뛰어난 과학자 20명을 처음 선정했는데, 재료공학 분야에서의 창의적인 연구로 가능성 있는 인물로 뽑혔었다.

그는 지난해 9월 교육보국(敎育報國)의 기치를 내건 포스텍의 4년 임기 총장에 취임했다. 포스텍은 올해 개교 30주년을 맞았다. 지난 2011년 12월 타계한 고 박태준 포스코 창립자이자 포스텍 설립 이사장과 고 김호길 초대 총장은 포스텍 개교 당시, 30년 이내 포스텍에서 기초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가 탄생하리라 기대한 바 있어 그의 취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김 총장과의 인터뷰는 지난해 12월 22일 경북 포항시 남구 효자동 포스텍 본관 앞 노벨동산에서 시작해 집무실로 옮겨 진행됐다. 노벨동산에는 고 박 이사장의 조각상이 있다. 우리나라 산업 근대화의 신화를 쓴 고인은 1986년 이 학교를 열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포스텍 구성원과 포항 시민들의 기금으로 건립한 의미 있는 장소다.

“우리나라는 매년 10월이 되면 과학기술 분야 노벨상 수상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러면서도 번번이 수상자를 내지 못해 각계에서 국가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비판을 쏟아내고 있지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변하는 국가 정책의 일관성과 방향성 부족을 질타하는 목소리도 있고…, 이러다 보니 시행착오도 겪습니다.”

김 총장은 포스텍 발전을 위해 ‘투 트랙 전략’을 세웠다. 노벨상 수상 도전과 함께 ‘돈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가 육성이다. 그는 “국내에서 연간 20편 정도가 해외 논문에 실렸던 1980년대에는 세계적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는 게 과학자들의 꿈이었지만 요즘엔 연간 5만 편이 넘게 게재된다”고 말했다. 그런 만큼 가시적인 성과가 곧 나올 법도 하니까 더 조바심을 내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윤을 창출해 직접 사회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 역시 국가 경제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포스텍이 개교한 지 30년이 됐습니다. 기초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에 대한 기대는….

“노벨상은 물론 받을 수 있지요. 노벨상이라는 게 뛰어난 사람이 있으면 받는 겁니다. 일본은 기초과학 분야에서 20∼30년 전 이미 전 세계 논문의 18∼20%를 굵직한 저널에 게재했어요. 그러니까 일본은 받는 겁니다. 우리나라는 근래 들어 기초과학 분야 논문을 5% 정도 냅니다. 획기적인 연구성과가 없는 한 논문 비율로만 따질 경우 앞으로 더 세월이 흘러야겠지요.”

― 그러니까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것인지요.

“일본은 걱정합니다. 앞으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기 힘들다는 거예요. 일본 학계의 보고를 보면 20년 전에 비해 최근 들어 논문 발표 비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지고 있어요. 반면 중국은 20%대를 훌쩍 넘어 미국의 10%대 후반을 추월했어요. 기초과학 분야에서 중국의 힘이 엄청나지요. 우리나라는 장기간 투자해야 하고 앞으로 많이 기다려야 할 겁니다.”

― 그래서 일본과 중국에 노벨상 샌드위치가 됐다. 이웃 나라 노벨상 수상자를 구경만 하는 형국이라는 말이 있어요.

“거듭 말하지만 노벨상을 올림픽 금메달로 생각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스포츠는 기본 규칙이 있기 때문에 자질, 훈련, 그에 따른 기술이 지원되면 금메달 획득이 가능하지만 노벨상은 목표를 정해 훈련한다고 받을 수 있는 상이 아닙니다. 결국 기초과학의 저변 강화가 관건입니다. 노벨상은 기초가 쌓이고, 그 위에서 연구집단의 힘이 발휘됐을 때 자연스럽게 받게 됩니다. 우리나라가 ‘연구’란 것을 한 지 불과 30년도 안 돼 기초를 쌓기 위해선 아직 할 일이 많아요. 노벨상 수상에 조바심을 내기보다는 내실을 다질 필요가 있습니다.”

― 정부가 2025년까지 세계 톱 클래스 연구자 1000명을 기르고, 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묵묵히 연구하는 이른바 ‘한 우물 파기식 연구 확대안’을 최근 발표했습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빠른 성장에만 주목했어요. 그런 시도는 기초과학의 저변 확대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특정 연구 분야에 깊이 빠져드는 ‘오타쿠(御宅)’가 없습니다. 정부 출연 연구기관도 연구는 많이 하지만 정작 구성원은 행복한 연구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너무 관여하기 때문에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지요. 이제는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기초과학 강국으로서의 관점을 가지게 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 박근혜정부가 과학기술 르네상스 시대, 다시 말하면 과학기술의 새마을운동 기치를 내걸었습니다. 그러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과학기술정책이 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과학기술정책은 정부가 바뀌는 5년마다 컴퓨터를 ‘리셋’하는 것처럼 변하고 일관성이나 연속성도 부족합니다. 그러다 보니 시행착오도 많아 상당히 아쉬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과학기술 정책이나 조직, 기조 등은 한 번 정해지면 정권이 바뀌더라도 꾸준히 유지돼야 합니다. 연간 연구·개발(R&D) 예산은 18조 원 정도로 국내총생산(GDP)에서의 비중이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지만, 공공 연구기관의 생산성은 하위권인 1.49%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는 국가가 R&D의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재원을 사용하지도 못하기 때문입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색깔 내기에 급급하고, 이로 인해 체계적으로 과학기술정책을 준비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 그래도 포스텍은 기초과학 분야로 승부를 내야 하지 않나요. 개교 당시 표방한 연구중심대학으로서 노벨상에 대한 접근성은 어느 정도인지요.

“우리 대학은 화학과 소재 분야에서 특히 강점을 보이고 있어 이들 분야가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생각입니다. 제가 보기에 몇몇 교수들은 노벨상에 상당히 접근해 있습니다. 그리고 포스텍은 연구중심대학이지만 개교 당시부터 산·학·연 협동을 통해 국가와 인류에 이바지하는 대학이 되겠다고도 천명한 대학입니다.”

김 총장은 각종 통계지표를 인용해 말을 한 뒤 화제를 학교발전계획으로 전환했다. 학생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교육하고 창업하도록 해 이들이 앞으로 과학기술로 국가를 먹여 살리는 역할을 맡도록 하는 데 대한 설명이었다. “공대는 새로운 산업을 창출해 직접적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돈이 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들어 공대에서 기업가 정신 교육이 많이 약해지면서 산업현장과도 괴리감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우리 대학 입학생은 기초과학 분야 100명, 공학 분야 200명으로 구성되는데 공학 분야 학생들을 기업가로 육성해 일자리와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경제 발전에 기여토록 할 방침입니다.”

― 포스텍 출신 기업가도 많지요. 포스텍 졸업생이 설립한 기업이 주축이 돼 2012년 조직한 포스텍 기업협의체(APGC)도 있습니다.

“APGC는 동문들이 세운 기업연합체로 기술을 바탕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동시에 사회에 환원한다는 차원에서 주식기부 등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4년부터는 이들이 멘토가 돼 후배들을 창업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이미 2014년 3개 기업이 창업했고, 7개 스타트업이 나왔을 정도로 성과가 우수합니다.”

― 동문 기업의 연간 매출액은 얼마나 되는지요.

“지금은 한 1조 원, 30년 후에는 100조 원이 될 것으로 장담합니다. 뭐, 충분히 가능할 것 같아요. 그렇게 되면 포스텍이 우리 산업에 크게 기여하는 거죠. 포스텍 동문은 최고 나이가 이제 47세 정도로 시작단계이고, 여기서 성공하는 동문이 후배를 양성하고, 그러다 보면 마크 저커버그 같은 인물도 나오겠지요.”

― 그동안 거쳐 간 역대 총장들의 대학발전계획과 차이가 있는지요.

“그동안 우리나라는 국부(國富)와 관련해서는 대학이 제대로 신경을 쓰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한계에 도달해 포스텍뿐만 아니라 전국의 공과대학들이 공학교육을 바꿔야 합니다. 공학은 ‘돈 만드는 학문’입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를 보세요. 이 대학 졸업생들이 만들어 내는 국부를 합치면 얼마나 되는지 아세요? 국가로 따지만 세계 11위에 해당합니다. 물론 MIT는 150년의 역사가 있지만, 마찬가지로 포스텍도 그런 역할을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포스텍 총장에 취임한 지 3개월 정도 지났는데 학생들의 생활지도 면에서 따로 생각한 부분이 있는지요.

“학생들의 활동 폭을 좀 더 넓혀줄 방침입니다. 포스텍은 포항에 있어서 학생들의 사회적 활동 폭이 서울대 학생들과 비교하면 굉장히 좁습니다. 따라서 겨울방학을 줄이고 여름방학을 3개월로 늘릴 예정입니다. 지금은 여름방학이 2개월이지요. 3개월 중 2개월은 회사 실습이나 해외에 내보내고, 아니면 확실하게 2∼3개월 잡아서 여행을 가도 좋고…, 연구활동도 중요하지만 폭넓은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고 싶어요.”

―그러면 교육방법의 혁신도 필요한가요.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대중공개 강좌(Massive Open Online Course·MOOC)’를 들어보셨나요. 지난 2012년 탄생한 대표적인 MOOC 플랫폼인 ‘코세라(Coursera)’는 현재 140여 개 세계 유명 대학 교수들의 1500개 이상 대중강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MIT, 조지아대, 예일대 등이 이 강의로 정규 학위를 수여하고 있습니다. 포스텍은 학생들에게 수강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수나 학생의 직접적인 참여는 거의 없습니다. 교수들이 이런 곳에 다양한 강의를 내놓아 세계인들이 받아들이고, 우리나라 학생들도 강의를 듣고 학생과 교수들이 토론 등을 하면서 특히 학생들이 창의적인 꿈을 펼치도록 해야 합니다.”

―교원도 산업체 출신을 채용한다던데, 포스텍으로선 파격적인데요.

“사실 우리 사회가 논문을 내는 연구, 지식을 창출하는 연구에 관심이 많았는데, 이제는 그와 동시에 부를 창출하는 연구도 중요합니다. 부를 창출하는 연구는 기업체에 있던 분이나 사업하는 분들이 훨씬 더 잘할 수 있죠. 특히 포스텍은 공학 분야가 있으니까 이분들이 공과대학 학생들을 교육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대기업도 좋고 중소기업도 환영합니다. 예전에는 교수 하면 꼭 박사 학위가 있어야 했는데 이제 그런 게 필요하나요.”

―학교 안에 있는 4세대 방사광 가속기 건설이 거의 완료된 것 같네요. 준공식은 언제 하나요.

“건설이 완료돼 시험 가동 중입니다.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조만간 준공식을 할 것 같습니다.”

―4세대 방사광 가속기가 본격 가동되면 우리나라 과학기술계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이 가속기는 지구상에서 가장 밝은 X선으로 연구하는 장치입니다. 과학자들이 아직 시도해 보지 못한 새로운 분야의 연구영역을 개척하기 위한 중요한 범국가적인 연구시설입니다. 미국과 일본에 이어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세 번째로 가동하는 최첨단 연구시설로, 세계적인 수준의 첨단과학기술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포스텍 동문이 최근 미국 스탠퍼드대 SLAC 국립가속기 연구소에서 이 가속기를 이용해 초전도 현상을 3D로 촬영한 논문을 유명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에 게재하기도 했습니다. 과학계에선 획기적인 시설입니다.”

―대학교수의 ‘갑질’과 논문 표절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요즘은 개개인의 권리와 삶이 굉장히 중요한 시대 아닙니까. 포스텍에서는 대학원생들의 ‘권리 및 의무장전’을 마련해 뒀습니다. 이들은 대학원에 뚜렷한 목표의식을 갖고 입학해 긍정적으로 연구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교수들 역시 연구에 대한 열정으로 뭉쳐 갑질 논란은 없습니다. 일부 외국 대학의 경우 표절예방 교육을 하는데, 우리나라 대학도 이러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학 구조조정을 자율에 맡겨야 하는 게 바람직한지요.

“대학들이 위기를 맞고 있어 구조조정 필요성에 동감합니다. 현재 대학 구조조정 정책은 대학의 자율적인 영역을 없애고 있습니다. 대학의 경쟁력 저하, 학령인구 감소, 청년 일자리 등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포함한 여러 이슈가 있으나 구조조정 방법은 정부에서 정하는 일률적인 기준이 아니라, 대학이 강점과 약점을 분석해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의 존폐는 학생들의 ‘수요’에 달려 있습니다. 1995년 대학 정원 자율화 정책 추진 이후 정원은 정부의 정책을 따르기보다 시장 수요에 의해 달라졌던 것임을 감안하면 정원 축소 역시 시장 논리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하는 게 옳습니다. 학생들이 선택하지 않으면 그 대학은 자연스럽게 도태됩니다. 2010년 울산대 총장 시절, 자율적으로 신입생 정원 감축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는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하고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대학이 자율적인 경쟁을 통해 생존을 모색해 나가려고 하는 것은 맞지만, 지역 대학들은 수도권 소재 대학에 비해 불리한 것도 사실입니다. 처해 있는 환경이나 문제도 전혀 다를 수 있어 유럽처럼 정부가 균형 있게 대학을 육성하는 시스템이 있었으면 합니다.”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바 있어 여쭤 봅니다. 국가 연구·개발 컨트롤 타워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가 과학기술정책 싱크탱크 역할을 할 ‘한국과학기술정책원’을 설립하려다 보류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한국과학기술정책원 설립은 과학기술정책 연구기관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과 과학기술정책 기획·평가기관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을 통합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원래 두 기관은 1999년까지 하나의 연구기관이었습니다. 분리된 이유는 정책 연구와 평가를 동일 기관이 할 수 없다는 지적 때문이었지요. 다시 과학기술정책원을 설립하려는 것에 대해 과학계에서는 1990년대로 돌아간다는 의견을 내놓습니다. 물론 두 기관이 합쳐지면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이 훨씬 강해질 수도 있겠지만, 두 기관이 이공계와 경제학이라는 서로 다른 틀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에 대해 의문을 갖는 것입니다. 다만 STEPI가 정책 전략 수립에서 큰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두 개 기관의 역할이 중복되는 면이 있는 점, 과학기술전략본부와 유기적 관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통합된 조직이 정부 입장에서는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두 기관이 단순히 물리적 통합이 아니라 화학적 결합을 하기 위해서는 학계와 관계 부처 간 소통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국내 공학계를 이끌어 가는 리더들이 회원으로 포진해 있는 한국공학한림원 회장도 지내셨네요. 최근 강연에서 창조적 융합인재 육성을 강조한 것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정부에서는 2018년부터 통합교육과정에 따라 과학수업을 줄인다고 하던데요.

“수학과 과학은 전공과 관계없이 합리적인 사고방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린 시절부터 어떤 진로를 선택하든지 수학과 과학은 반드시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입시제도는 현 상황을 유지하면서 과다한 선행학습이나 사교육을 이유로 수학과 과학 학습량을 무조건 줄이면 인문계 전공자들의 기본 소양 부족, 합리적 사고력 배양 교육의 어려움은 물론, 이공계 진학 희망자들이 갖춰야 할 과학적 지식이 떨어지는 역효과를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그 사례가 일본의 ‘유토리 교육’입니다. 유토리는 ‘여유’라는 뜻으로 학생들의 학업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전체 수업시간을 10% 정도 줄였습니다. 국공립학교에만 실시됐던 이 정책은 학력 저하를 우려한 학생이나 학부모들이 공립학교를 외면하고 사립학교에 무리하게 진학하면서 교육 양극화가 심화됐고,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도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결국 일본 정부는 실패를 인정하고 원래대로 돌려놓은 전례가 있습니다.”

인터뷰가 끝나갈 무렵 김 총장은 고용노동부에서 최근 내놓은 인력 수급 문제를 꺼냈다. “인력 수급에 대한 소식이 신문에 크게 났는데, 그걸 보니 10년 뒤에는 일자리 80만 개가 모자란다. 특히 공학 분야 대졸자가 크게 모자라서 더 늘려야 한다는 게 요지인 것 같은데 말이 안 된다고 속으로 생각했습니다.”

―이유는 무엇인지요.

“우리나라 공대 졸업생은 연간 15만 명입니다. 일본은 17만 명이고…. 일본은 우리나라 산업 규모의 4배입니다. 산업 규모로 치면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공대 졸업생을 엄청 많이 배출하는 셈입니다. 그러니까 역으로 따지면 우리나라는 공대를 졸업하고도 제대로 된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것이지요. 우리나라보다 산업 규모가 큰 프랑스는 공대 졸업생이 10만 명, 미국은 24만 명입니다. 우리나라 공대 졸업생은 5만 명 정도면 충분합니다. 그런데 공대 졸업생이 모자라서 더 배출하라니 이는 분석이 잘못된 겁니다. 고용부는 직업학교 출신이 하는 용접일도 공대 졸업생이 해야 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것 같아요. 이런 분야는 직업학교를 나온 사람이 해야 할 일이죠. 설령 이 분야에 공대생이 진출하면 직업학교 출신의 일자리를 빼앗는 것입니다. 이들의 일자리를 공대 졸업생의 일자리로 판단하는 것 같은데, 그렇게 되면 서로 불행해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 Challenges In Making And Testing STT-MRAM webmaster 2019.05.18 82471
104 EUV Mask Gaps And Issues webmaster 2019.05.18 31670
103 SK하이닉스, 반도체 `투 톱 체제` webmaster 2014.03.26 19589
102 中에 다 뺏기는 '동대문 상표' webmaster 2014.03.24 16492
101 2013년 32건…2015년 시행 '허가-특허연계' 겨냥, 오리지널약 특허 무효땐 1년간 판매자격 얻어 webmaster 2014.04.16 15173
100 SK하이닉스, 세계 첫 128GB DDR4 모듈 개발…차세대 서버용 D램 시장 우위 기대 webmaster 2014.04.08 14452
99 “유럽상표정보 검색 쉬워진다”..특허청,유럽상표청과 MOU 체결 webmaster 2013.09.27 11709
98 美법원 "모토로라 표준특허료 과다, MS에 160억 배상" webmaster 2013.09.06 10733
97 [디자인] 디자인 공지 증명제도 시행 jungho 2013.07.16 10551
96 SK하이닉스, 8GB 초대용량 초저전력 모바일 D램 출시 webmaster 2017.01.10 6730
95 CES 2015 제낙스, 플렉시블 배터리 실물 ‘J-flex’ 공개 webmaster 2015.01.15 6065
94 "지식재산 보증” 신규 시행 webmaster 2013.08.13 6039
93 2013년 상반기 한국 지식재산 출원 20만건 돌파, 3년째 성장 중 webmaster 2013.08.24 4965
92 스마트폰 갖다 대면 로그인···구글, `소리 인증` 스타트업 `슬릭로그인` 인수 webmaster 2014.02.17 4853
91 중국, EU와 IP 협력 체계 강화 webmaster 2014.02.09 4289
90 2020년 국제 지재권 분쟁 대응전략 지원사업 webmaster 2020.03.07 4219
89 매그나칩반도체 韓·美·中 분할매각 추진…성사되면 공중분해 webmaster 2016.02.04 4089
88 버버리, 체크무늬 소송서 LG패션에 완승 webmaster 2014.02.28 3895
87 SK하이닉스, 시스템 반도체 사업 본격 추진…종합 반도체 회사로 변신 webmaster 2014.02.09 3851
» “노벨상은 올림픽金 아니다… 기초과학 저변부터 다져야” webmaster 2016.01.13 3785
Quick Menu